CSS / Tutorial / position의 값이 fixed일 때 가운데 정렬하는 방법

position의 fixed를 이용하여 요소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단에 고정되는 메뉴바를 만들 때 사용합니다. 그런데, fixed를 하면 요소가 한쪽으로 치우칩니다. 만약 가운데에 위치시키고 싶다면 어떻게 할까요? transform 속성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아래는 가운데에 위치한 두 요소가 있는 간단한 예제입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body {
        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Consolas, monospace;
      }
      .jb-b {
        width: 400px;
        height: 100px;
        margin: 0px auto;
        background-color: #000000;
      }
      .jb-c {
        width: 600px;
        height: 200px;
        margin: 0px auto;
        background-color: #666666;
      }
    </style>
  </head>
  <body>
    <div class="jb-a">
      <div class="jb-b"></div>
      <div class="jb-c"></div>
    </div>
  </body>
</html>

  • 위에 있는 요소를 position: fixed;를 이용하여 고정하면 왼쪽에 위치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body {
        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Consolas, monospace;
      }
      .jb-a {
        position: relative;
      }
      .jb-b {
        width: 400px;
        height: 100px;
        margin: 0px auto;
        background-color: #000000;
        position: fixed;
      }
      .jb-c {
        width: 600px;
        height: 200px;
        margin: 0px auto;
        background-color: #666666;
      }
    </style>
  </head>
  <body>
    <div class="jb-a">
      <div class="jb-b"></div>
      <div class="jb-c"></div>
    </div>
  </body>
</html>

  • left: 50%;를 추가하여 시작 위치를 정가운데로 만듭니다.
  • transform: translateX( -50% );를 추가하여 요소 크기의 50%만큼 왼쪽을 이동합니다.
.jb-b {
  width: 400px;
  height: 100px;
  margin: 0px auto;
  background-color: #000000;
  position: fixed;
  left: 50%;
  transform: translateX( -50% );
}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 Tutorial / 상속(inheritance)

CSS / Tutorial / 상속(inheritance)

상속(inheritance) CSS 속성은 상속하는 속성과 상속하지 않는 속성이 있습니다. 상속하는 속성은 자식 요소에 영향을 미칩니다. 상속하지 않는 속성은 자식 요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color는 상속하는 속성입니다. 부모 요소에서 정한 색이 자식 요소에도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padding은 상속하지 않는 속성입니다. 부모 요소에서 padding을 정의해도 자식 요소에 적용되지 않습니다. 예제 color는 상속하는 속성이므로 자식 요소의 ...

CSS / Tutorial / !important

CSS / Tutorial / !important

CSS에서 !important는 특정 스타일 규칙이 다른 모든 스타일 규칙보다 우선 적용되도록 강제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키워드는 일반적인 스타일 우선 순위를 무시하고, 해당 스타일이 다른 어떤 스타일보다도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도록 합니다.

CSS / Tutorial / 링크 꾸미는 방법

CSS / Tutorial / 링크 꾸미는 방법

선택자 링크는 a 태그로 만듭니다. 따라서 a 태그를 선택하여 꾸밉니다. 예를 들어 다음은 링크의 색을 빨간색으로 만듭니다. a { color: red; } 가상 클래스를 이용하면 좀 더 다양하게 꾸밀 수 있습니다. a:link - 방문하지 않은 링크 a:visited - 방문했던 링크 a:hover - 마우스가 올려진 링크 a:active - 클릭하는 순간 링크 주의할 점은 a:hover는 a:link와 a:visited 뒤에 와야 하고, a:active는 ...

CSS / Tutorial / 원 또는 타원 만드는 방법

CSS / Tutorial / 원 또는 타원 만드는 방법

CSS의 border-radius 속성으로 원 또는 타원을 만들 수 있습니다. 원 만들기 HTML 문서에 다음과 같이 내용이 없는 요소를 하나 만듭니다. <div class="circle"></div> 적절히 크기를 정하여 정사각형을 만들고, 배경색을 넣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circle { ...

CSS / Tutorial / 표 꾸미기 / 크기

CSS / Tutorial / 표 꾸미기 / 크기

표와 셀의 기본 크기 표와 셀의 크기는 정해져있지 않습니다. 내용이 짧으면 작게, 내용이 길면 크게 표와 셀이 만들어집니다.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나오지 않게 하려면 크기를 정하는 게 좋습니다. 크기를 직접 정할 때 사용하는 속성은 width 속성과 height 속성입니다. 다음은 크기를 파악하기 위해 테두리만 추가한 간단한 표입니다. 여기에 스타일을 추가해서 크기를 변경해보도록 하겠습니다. <!doctype ...

CSS / Tutorial / 문법

CSS / Tutorial / 문법

CSS 문법은 선택자(selector), 속성(property), 값(value)의 조합으로 구성됩니다. 다음은 가장 간단한 CSS 코드입니다. h1 { color: red } h1, color, red 세 개의 단어가 있는데 각각 선택자, 속성, 값입니다.

CSS / Tutorial / 마우스 오버 효과 /  이미지 확대하는 방법

CSS / Tutorial / 마우스 오버 효과 / 이미지 확대하는 방법

이미지에 마우스를 올렸을 때 이미지가 확대되는 효과를 만들어보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이미지가 들어간 간단한 HTML 문서를 만듭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body { box-sizing: border-box; ...

CSS / Tutorial / 인용문(Blockquote) 꾸미는 방법

CSS / Tutorial / 인용문(Blockquote) 꾸미는 방법

blockquote 요소의 기본 모양은 양쪽에 여백이 있는 것입니다. 그대로 사용하기보다는 여러 가지 모양으로 꾸미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다음은 아래와 같은 인용문을 꾸미는 몇 가지 예제입니다.

CSS / Tutorial / 표 꾸미기 / 정렬

CSS / Tutorial / 표 꾸미기 / 정렬

표와 관련된 정렬에는 표 정렬, 셀 안의 내용 가로 정렬, 셀 안의 내용 세로 정렬이 있습니다. 기본 모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table) : 왼쪽 정렬 제목 셀(th) 안의 내용 가로 정렬 : 가운데 정렬 내용 셀(td) 안의 내용 세로 정렬 : 왼쪽 정렬 셀 안의 내용 세로 정렬 : 가운데 정렬

CSS / Tutorial / 선택자(Selector)

CSS / Tutorial / 선택자(Selector)

CSS에서 선택자(CSS Selector)는 HTML 문서의 요소를 선택하고 스타일을 적용할 때 사용되는 구문입니다. 선택자는 특정 요소를 대상으로 스타일을 지정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요소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